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초통계13

13장. 통계적 품질관리 통계적 품질관리(Statistical Quality Control; SQC) - 1924년 슈하르트(W. shewahart)에 의해 소개된 이후 현재까지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많은 산업체로부터 그 성능을 입증받음SQC 또한 만능의 기법은 아니며 특히 공정에 중점을 둔 것으로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에는 한계가 있음이에 최근에는 제품의 설계 분야에 보다 중점을 둔 다구찌 방법등이 등장하였지만 SQC는 여전히 기본적으로 필요한 수단즉, 효율적인 공정관리의 바탕 위에서 다구찌 방법 등이 효과를 거둘수 있음TQC(Total Quality Control) 또는 TQM(Total Quality Management) 의 경우 품질향상에 대한 노력을 조직 전체의 목표로 확장한 것이지만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2023. 7. 24.
12장. 품질설계 품질에 관련된 문제의 대부분은 품질특성의 설계단계부터 내재 →\rarr → 적극적 의미에서의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은 효율적인 설계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함기존의 관리도기법은 이미 설계된 품질을 갖는 제품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정이상상태를 사전에 감지하여 예방공정의 분산을 근본적으로 감소시키거나 품질을 개선시키지는 못함다구찌 기법은 설계단계에서의 품질 중요성을 강조하는 실용적인 방법론기존의 관리도 중심의 통계적 공정관리기법 (online QC), 다구찌 기법 (offline QC) 두 개를 합쳐서 품질공학(quality engineering)이라고 부르기도 함 12.1 다구찌의 품질해석 및 손실함수 일반적으로 품질이란 사용의 적합성(fitness for use) 또는 목적의 적합성(fitness .. 2023. 7. 24.
11장. 실험계획법 실험계획법(design of experiments) - 실험에 대한 설계 및 분석방법품질 및 공정최적화를 위해서 어떻게 실험을 행하고, 데이터를 어떻게 취하며, 어떠한 통계적 방법으로 데이터를 분석할 것인가를 계획하는 것11.1 실험계획의 기본개념11.1.1 인자 및 수준인자(factor) - 제품 등의 품질이나 공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판단되어 실험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는 변수해당 인자에 대해 몇 가지로 나뉘는 실험조건, 즉 인자를 양적 또는 질적으로 변화시킬 경우의 단계를 그 인자의 수준(level)이라고 함이 때 인자들의 각 수준들의 조합을 수준조합 또는 처리조건(treatment)라 부름11.1.2 교호작용어떤 품질요인으로 다수의 인자가 관여될 수 있으며 또한 두 개 이상의 인자를 취급할.. 2023. 6. 6.
10장. 특수회귀모형 2023. 6. 6.
9장. 다중회귀분석 2023. 6. 6.
8장. 단순회귀분석 2023. 6. 6.
7장. 상관분석 2023. 6. 6.
6장. 가설검정 2023. 6. 6.
5장. 점추정과 신뢰구간 2023. 6. 6.
4장. 정규분포와 관련 분포 2023. 6. 6.
3장.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2023. 6. 6.
2장. 사건과 확률 2023. 6. 6.
반응형